자연휴양림
🗺️ 전국 국립자연휴양림 위치별 정리 (도별 안내)
끙지
2025. 7. 16. 10:20
안녕하세요 =)
국립자연휴양림은 산림청 산하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가 운영하는 공공 휴양시설로, 청정한 산림 속에서 숙박, 산책,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는 국민 힐링공간입니다.
2025년 현재, 전국에는 총 42곳의 국립자연휴양림이 운영 중이며, 각 지역의 지형·기후·생태적 특징을 반영해 조성되어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전국 국립자연휴양림의 위치를 도(道)별로 분류하여 접근성과 특징까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
📌 목차
- 국립자연휴양림 개요
- 도별 국립자연휴양림 목록
① 서울·경기·인천
② 강원도
③ 충청도 (충북·충남·세종)
④ 전라도 (전북·전남)
⑤ 경상도 (경북·경남·대구·부산·울산)
⑥ 제주도 - 예약 방법과 지도 확인 팁
- 마무리

1. 국립자연휴양림 개요
- 운영 주체: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
- 목적: 국민의 산림휴양·정서회복·자연학습
- 시설: 숲속의집, 연립동, 야영데크, 산책로, 체험장 등
- 예약: 숲나들e (https://www.foresttrip.go.kr)
- 이용요금: 1박 기준 3만~7만 원대 (비수기 기준)

2. 도별 국립자연휴양림 목록
📍 ① 서울·경기·인천
휴양림명 | 위치 | 특징 |
산음자연휴양림 | 경기 양평군 | 수도권 대표, 무장애 숲길 운영 |
유명산자연휴양림 | 경기 가평군 | 폭포·계곡 지형, 가족형 숙소 인기 |
청태산자연휴양림 | 강원 횡성군 *경기서 가까움 | 고도 높은 침엽수림, 겨울 설경 유명 |
※ 서울, 인천 자체에는 국립휴양림 없음
📍 ② 강원도
휴양림명 | 위치 | 특징 |
방태산자연휴양림 | 인제군 | 계곡 중심, 여름 물놀이 명소 |
미천골자연휴양림 | 양양군 | 바다 근접 + 계곡형 휴양림 |
가리왕산자연휴양림 | 정선군 | 해발 1,000m 고지대, 한적한 분위기 |
삼봉자연휴양림 | 홍천군 | 침엽수림 중심, 숲 체험 인기 |
용화산자연휴양림 | 춘천시 | 서울 근접 + 자연학습장 운영 |
📍 ③ 충청도 (충북·충남·세종)
휴양림명 | 위치 | 특징 |
희리산자연휴양림 | 충남 서천군 | 소나무숲, 해변 인접 |
용현자연휴양림 | 충남 서산시 | 해미읍성과 연계 관광 가능 |
민주지산자연휴양림 | 충북 영동군 | 중부권 대표 산림휴양림 |
속리산말티재자연휴양림 | 충북 보은군 | 속리산 국립공원 인접, 가을 단풍 |
📍 ④ 전라도 (전북·전남)
휴양림명 | 위치 | 특징 |
운장산자연휴양림 | 전북 진안군 | 운장산 등산객 숙소로 인기 |
방장산자연휴양림 | 전남 장성군 | 치유형 프로그램 운영 |
장성자연휴양림 | 전남 장성군 | 국립장성숲체원과 연계 운영 |
백암산자연휴양림 | 전남 순천시 | 동백나무숲과 남도 정취 가득 |
📍 ⑤ 경상도 (경북·경남·대구·부산·울산)
휴양림명 | 위치 | 특징 |
대야산자연휴양림 | 경북 문경시 | 단풍 명소, 단체 캠프 인기 |
운문산자연휴양림 | 경북 청도군 | 운문산 자락, 조용하고 한적 |
청옥산자연휴양림 | 경북 봉화군 | 여름 숲캠프, 고도 숲체험 적합 |
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| 울산 울주군 | 폭포·암릉 지형 감상 가능 |
통고산자연휴양림 | 경북 울진군 | 해안 산림지대의 조화 |
📍 ⑥ 제주도
휴양림명 | 위치 | 특징 |
절물자연휴양림 | 제주시 봉개동 | 삼나무숲, 제주 대표 휴양림 |
한라산청소년수련원 | 제주시 | 국립휴양림은 아니나 유사 운영 |

3. 예약 방법과 지도 확인 팁
- 공식예약처: 숲나들e
- 지도에서 ‘국립자연휴양림’만 필터 적용 가능
- 지도 기반으로 숙소 + 산책로 + 체험시설 정보 확인
- 지도 위치 저장용으로 카카오맵/네이버지도에 등록 가능

4. 마무리
국립자연휴양림은 전국 곳곳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가까운 곳에서 자연을 만끽하고 힐링할 수 있는 훌륭한 선택지입니다.
도시에서 벗어나 숲속에서 하루를 보내고 싶다면,
이번 주말엔 가장 가까운 국립자연휴양림을 직접 찾아가 보세요. 🌲
📎 참고자료
-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(https://www.forest.go.kr)
- 숲나들e 공식 예약 포털 (https://www.foresttrip.go.kr)
- 2025년 국립휴양림 안내서 PDF